반응형 과호흡2 응급간호#19_신경계 환자의 사정 병력 환자의 의식 기능에 손상이 있기 때문에 올바른 병력자료를 수집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응급처치자는 손상기전이 외상성인지 아닌지 알아야 하고 목격자 또는 비목격자에 의한 정보도 수집하여야 한다. 외상성 중추신경계 손상에서 확인되어야 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사고는 언제 발생되었는가? 어떻게 사고가 발생되었는가? 손상의 기전이 무엇인가? 의식상실이 있었으면 그 기간은? 무엇이 주 호소인가? (동통, 무감각, 마비, 타진통 등) 합병 요소는? (원인이 되는 질병, 알코올, 약물중독 등) 비외상성 중추신경계 질환의 경우에 확인되어야 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 호소(현질병의 상세한 내용) - 발현은 갑자기 된 것인가 서서히 된 것인가? - 무의식이나 혼수의 기간은? - 최근의 두부손상은?.. 2022. 6. 16. 응급간호#17_호흡기계 흡인성 손상 원인 흡인성 손상의 원인은 5가지로 대별되며, 이는 뜨거운 공기의 흡입, 독성 연소성 산물의 흡입, 화학적 자극물, 증기 흡입, 독성 가스 흡입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들에 대한 호흡기계의 흡입 손상 효과는 부종으로 인한 상기도 폐색과 기관지 경련, 허파꽈리 모세 혈관막의 손상 및 독성 가스 흡입으로 인한 신체의 유지 기능장애를 초래한다. 사정 이러한 상황에 처해 있는 환자의 사정을 위해서 응급처치자는 다음과 같은 정보 수집이 필요하다. 흡입물이나 연소물질의 성분을 확인하도록 한다. 이는 특히 합성물질인 경우 생성되는 가스가 기도와 하부 호흡기계에 부식성 손상을 주기 때문이다. 흡입물에 노출된 시간 폐쇄된 공간에서 흡입성 물질에 노출되었는지 알아본다. 환자는 무의식 상태에서 발견되었는지 아니.. 2022. 6.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