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도폐쇄2

응급간호#14_호흡기계 호흡기계 응급질환 관리 상기도 폐색증 원인 상기도 폐색의 가장 흔한 원인은 무의식 상태에서 혀가 뒤로 넘어가 폐색을 유발하는 경우이고, 그 다음으로는 이물에 의한 폐색으로서 성인에서는 식사 중에 발생될 수 있다. 연령적으로는 중년 또는 노인층에서 cafe coronary라고 부르며, 음식 덩어리에 의해 발생되고 대개 의치를 하였거나 질식 상태가 있거나 알코올을 섭취한 상태에서 발생된다. 어린이들에서는 부적절한 물체를 입 안에 넣는 습관 때문에 기도폐색이 자주 일어나며, 또한 상기도의 부종에 의해서도 소아 기도폐색이 올 수 있다. 화상을 입었거나 알레르기 반응과 감염에 의해서도 후두 부종이 오며 외상에 의해서도 상기도 폐색이 올 수 있다. 사정 상기도 폐색이 온 환자의 사정은 다음과 같이 시행한다. 의식이.. 2022. 6. 15.
응급간호#3_기본소생술 기본 심폐소생술 심정지의 발생은 예측 불가능하며 심정지가 발생한 후 4~6분이 경과하면 치명적인 뇌손상이 발생하므로 환자 발생 현장에서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이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좌우하는 경우가 많다. 심정지 발생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이 시작되면 심정지 환자가 생물학적 사망으로 진행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임상적 사망 호흡, 순환 및 두뇌기능이 정지된 상태이지만, 혈액 순환이 회복되면 심정지 이전의 중추신경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심정지 상태에서 대뇌가 비 가역적 손상을 받지 않고 견딜 수 있는 4~6분에 불과하다. 생물학적 사망 개체 내 대부분의 세포가 비가역적으로 손상을 받아 다시 소생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대뇌가 비가역적으로 손상된 상태를 뇌사라 한다. 또한 목격자가 응.. 2022. 6.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