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인제세동1 응급간호#6_기본소생술 자동 제세동 AED개요 1.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과 심실세동 심정지 환자의 심장 부정맥 유형은 심실세동 또는 심실빈맥, 무수축, 무맥성 전기활동이다. 이 중에서 심실세동 및 심실빈맥은 심정지 시 관찰되는 부정맥의 60~85%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무수축이나 전기-기계 해리에 의한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2~3% 정도에 불과한 반면, 심실세동에 의한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20~50%로 보고되고 있으며, 심정지 후 신경학적 손상 없이 생존한 환자의 90% 이상이 심실빈맥 또는 심실세동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실세동 및 심실빈맥의 유일한 치료방법은 전기적 제세동이다. 따라서 심정지 환자의 전체 생존율을 증가시키려면, 제세동으로 생존할 가능성이 높은 심실세동의 치료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2022. 6.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