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6

응급간호#22_신경계 외상성 신경계 응급질환 두부외상(Head trauma) 뇌세포 두부 외상 환자에서 뇌에 손상이 있는지는 가장 중요하게 확인해야 한다. 뇌는 두개골에 꼭 맞게 들어차 있기 때문에 두개 내에 출혈이나 부종이 생기면 뇌 자체에 압박을 가하게 된다. 뇌조직은 연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압력이 증가되면 심하게 손상을 받을 수 있다. 뇌조직 손상경위 직접적인 강타 감속도(낙상, 자동차 사고) 두개 내 출혈 - 경막상출혈(두개와 경막 사이의 출혈)은 흔히 동맥 출혈이며 사망률은 50%를 점유한다. - 경막하출혈(경막과 지주막 사이의 출혈)은 동맥이나 정맥의 출혈이며, 사망률은 45~90% 범위이다. 탈출(뇌조직의 비정상적인 위치로의 이탈) 뇌부종 이상의 원인들에 의한 두부외상환자, 특히 무의식 환자의 경우에는 경추.. 2022. 7. 6.
응급간호#21_신경계 경련 발작 1차 조사 기도를 유지한다. 경련 발작이 있는 기간에는 치아 사이에 어느 물체도 삽입하지 않는다. 설압자 또는 혀 깨물기 방지 물체의 삽입은 구토, 흡인, 후두경련을 유발하므로 때로 필요치 않으며 경련하기 전에 필요한 경우 구강에 삽입할 수는 있다. 다량의 고농도 산소를 공급한다. 환자를 억제하기 위한 시도를 하지 않는다. 환자를 주위의 물체들로부터 보호한다. 체온 보온을 한다. 긴장성 간대성기가 끝난 후에는 측면으로 눕힌다. 필요하다면 흡인을 하도록 한다. 필요하다면 심박동 리듬을 모니터링한다. 조용하고 안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환자는 앙와위 또는 측면 횡와위 체위로 후송한다. 경련 중적 상태 원인 경련 중적 상태란 의식이 돌아오지 않은 동안에 2회 이상의 경련 발작이 있을 때를 .. 2022. 6. 17.
응급간호#20_신경계 비외상성 중추신경계 응급질환 혼수 원인 혼수란 비정상적인 무의식 상태로서 외부 자극에 의해 각성되지 않는다. 혼수의 원인으로는 두 개 내 출혈, 두부외상, 뇌종양, 기타 공간 점유 병소들에 의한 구조적 원인, 무산소증, 저혈당, 비타민 B₁ 결핍증, 당뇨병성 케톤산증, 신장과 간장의 기능부전 등에 의한 대사성 원인, 진정제, 마약제, 환각제, 억제제 또는 알코올 등의 약물 복용, 고혈압성 뇌증, 쇼크, 저혈압, 부정맥, 뇌졸중 등과 같은 심장 순환계, 폐색전, 만성 폐쇄성 호흡기 질환, 독성물 흡입, 흉벽의 외상과 같은 호흡기계 질환, 뇌막염, 단순포진과 같은 감염으로 대별할 수 있다. 다음은 혼수의 흔한 원인들이다. (AEIOUTIPS) - A : 산중독증(Acidosis), 알코올(Alcohol) -.. 2022. 6. 17.
응급간호#19_신경계 환자의 사정 병력 환자의 의식 기능에 손상이 있기 때문에 올바른 병력자료를 수집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응급처치자는 손상기전이 외상성인지 아닌지 알아야 하고 목격자 또는 비목격자에 의한 정보도 수집하여야 한다. 외상성 중추신경계 손상에서 확인되어야 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사고는 언제 발생되었는가? 어떻게 사고가 발생되었는가? 손상의 기전이 무엇인가? 의식상실이 있었으면 그 기간은? 무엇이 주 호소인가? (동통, 무감각, 마비, 타진통 등) 합병 요소는? (원인이 되는 질병, 알코올, 약물중독 등) 비외상성 중추신경계 질환의 경우에 확인되어야 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 호소(현질병의 상세한 내용) - 발현은 갑자기 된 것인가 서서히 된 것인가? - 무의식이나 혼수의 기간은? - 최근의 두부손상은?.. 2022. 6.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