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간호#11_출혈 및 쇼크
심장성 쇼크 심장성 쇼크는 심장의 펌프기능 부전으로 부적합한 조직관류와 산소공급이 이루어질 때 나타난다. 이러한 심장성 쇼크는 급성 심근경색증, 부정맥, 심장 압전, 심장 좌상, 폐수종, 심한 울혈성 심부전 및 대동맥류의 박리 등에 의해 발생한다. 사정 혈압하강, 의식장애, 요량 감소, 차고 축축한 피부(입술과 손톱 청색증), 흉통 맥박 : 불규칙하고 약하고 빠르다. 심박출량 감소 청진상 미약한 심음 경정맥 팽만 치료 심장질환과 심장손상으로 인한 쇼크 시는 혈액이나 수액의 보충이 필요하지 않으며, 하지의 거상이나 MAST의 사용도 필요 없다(단, 구토, 수분섭취 감소, 발한이나 잠혈 등으로 저혈량성 쇼크가 수반된 경우에는 수액을 보충한다). 산소를 투여하며 환자의 자세는 앉거나 약간 뒤로 젖힌 자세를 유..
2022.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