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6

응급간호#14_호흡기계 호흡기계 응급질환 관리 상기도 폐색증 원인 상기도 폐색의 가장 흔한 원인은 무의식 상태에서 혀가 뒤로 넘어가 폐색을 유발하는 경우이고, 그 다음으로는 이물에 의한 폐색으로서 성인에서는 식사 중에 발생될 수 있다. 연령적으로는 중년 또는 노인층에서 cafe coronary라고 부르며, 음식 덩어리에 의해 발생되고 대개 의치를 하였거나 질식 상태가 있거나 알코올을 섭취한 상태에서 발생된다. 어린이들에서는 부적절한 물체를 입 안에 넣는 습관 때문에 기도폐색이 자주 일어나며, 또한 상기도의 부종에 의해서도 소아 기도폐색이 올 수 있다. 화상을 입었거나 알레르기 반응과 감염에 의해서도 후두 부종이 오며 외상에 의해서도 상기도 폐색이 올 수 있다. 사정 상기도 폐색이 온 환자의 사정은 다음과 같이 시행한다. 의식이.. 2022. 6. 15.
응급간호#13_출혈 및 쇼크 환자 병력 호흡기계의 사정은 환자의 병력에 대한 자료 수집과 신체검진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병력에 관하여는 환자의 주호소와 그 밖에 다른 증상이 있는지 알아보고 더 자세히 조사한다. 기억을 돕기 위해 기호화 한 OPQRST-ASPN을 따른다. 즉, 발병상황(Onset), 유발/완화 요인(Provocation/Palliation), 통증의 질(Quality), 부위/방사(Region/Radiation), 심각성(Sevenity), 시간(Time), 관련 증상(Associated Symptom), 적절한 음성적 소견(Pertinent Negatives)의 앞 단어를 이용한 것이다. 주 증상 다음으로 자연스럽게 AMPLE 방식도 이용하여 자료 수집한다. 다음은 자료 수집 시 포함되어야 할 항목들이다. 호흡곤란.. 2022. 6. 15.
응급간호#12_호흡기계 호흡은 생명에 필수적 요소로 호흡이 중단되면 생명이 유지될 수 없다. 호흡작용은 심장맥 관계와 같이 기능하여 허파에 들어온 산소를 허파 조직에 운반해주고, 대신 체조직에 돌아온 노폐물인 이산화탄소는 허파를 통해 내보내고 있다. 이러한 호흡기계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한 환자는 응급현장에서 흔히 접할 수 있다. 이때 호흡기계의 기도 유지 관리는 환자의 성공적인 처치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기도유지와 기도 관찰을 위한 호흡기계의 해부와 생리, 호흡기계의 사정, 호흡기계 질환관리에 관해 다루고자 한다. 호흡기계 해부 및 생리 호흡기계는 콧구멍에서 인두, 후두를 거쳐 기관, 기관지를 통해 허파에 이르는 구조를 일컫는다. 호흡의 주 장기인 허파는 흉강 내 양측이 위치하며, 가볍고 스펀지와 같이 구멍이 .. 2022. 6. 14.
응급간호#11_출혈 및 쇼크 심장성 쇼크 심장성 쇼크는 심장의 펌프기능 부전으로 부적합한 조직관류와 산소공급이 이루어질 때 나타난다. 이러한 심장성 쇼크는 급성 심근경색증, 부정맥, 심장 압전, 심장 좌상, 폐수종, 심한 울혈성 심부전 및 대동맥류의 박리 등에 의해 발생한다. 사정 혈압하강, 의식장애, 요량 감소, 차고 축축한 피부(입술과 손톱 청색증), 흉통 맥박 : 불규칙하고 약하고 빠르다. 심박출량 감소 청진상 미약한 심음 경정맥 팽만 치료 심장질환과 심장손상으로 인한 쇼크 시는 혈액이나 수액의 보충이 필요하지 않으며, 하지의 거상이나 MAST의 사용도 필요 없다(단, 구토, 수분섭취 감소, 발한이나 잠혈 등으로 저혈량성 쇼크가 수반된 경우에는 수액을 보충한다). 산소를 투여하며 환자의 자세는 앉거나 약간 뒤로 젖힌 자세를 유.. 2022. 6.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