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움/간호

응급간호#5_기본소생술

by 혜봄봄 2022. 6. 9.
반응형

소아의 심폐소생술

 소아는 성인보다 체구가 작고, 심정지를 유발하는 원인이 성인과 다르므로 심폐소생술 방법이 성인과 약간 차이가 있다.

 소아 심정지의 주요 원인은 호흡정지에 의한 저산소증이다. 심정지가 발생한 소아 환자는 주로 무수축이 발생하여 심실세동의 매우 낮다. 따라서 소아 심정지 환자를 치료할 때에는 처음부터 적절히 기도를 확보하고 호흡을 유지시키는 것이 심폐소생술의 성과를 좌우하게 된다.

 심폐소생술에서는 1세 이상 8세 이하(25kg 이하, 신장 127cm 이하)를 소아로, 1세 이하는 영아로, 1개월까지는 신생아로 분류한다. 따라서 8세 이상의 환자는 성인과 같은 방법으로 심폐소생술을 하며, 8세 이하의 환자는 환자의 체구에 따라 인공호흡과 가슴압박 방법을 변경해야 한다.

 

1. 소아 소생의 고리  

 무엇보다 소아는 안전하게 돌보는 사고예방이 첫째이고, 둘째는 2분 정도 기본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단계, 셋째는 응급의료체계에 신고, 넷째는 전문 소아 소생을 시행하는 단계이다. 

 

 2. 구조요청 

 심정지가 의심되는 소아 환자를 발견하면 우선 기도를 유지하고, 호흡 및 순환 상태를 평가해야 한다. 심정지 또는 호흡정지가 확인되면 5주기(2분간) 심폐소생술을 한 후 환자를 재평가하여 심박동이 회복되지 않으면 즉시 응급의료체계에 구조를 요청한다.

 

3. 기도유지 

 소아는 혀와 후두부가 체구에 비하여 크며, 후두와 후두개가 성인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기도의 직경이 매우 작다. 따라서 소아는 기도가 쉽게 폐쇄되므로, 성인에서보다 기도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해부학적 구조상 소아는 성인과 같이 두부를 후굴 시키면 오히려 기도가 폐쇄된다. 따라서 가벼운 하악전굴법만을 시행하는 것이 기도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다른 방법으로서 환아의 등 뒤에 타월을 대주면 기도를 똑바로 유지할 수 있다.

 

4. 호흡 및 순환 평가 

 호흡의 확인은 성인에서와 같이 기도를 유지한 후 (10초 정도에 걸쳐) 구조자의 귀를 환아의 코 근처에 대고 호흡음을 듣고 눈으로 흉곽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영아를 제외하고는 심정지를 확인할 때에 목동맥의 맥박을 촉지 한다. 영아는 목이 매우 짧고 지방이 많아 목동맥을 촉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영아는 위팔 동맥에서 맥박을 촉지 한다. 

 

5. 인공호흡과 가슴압박

▣ 인공호흡

 영아는 구조자의 입으로 환아의 입과 코를 동시에 덮어 인공호흡하여야 한다.  만약 구조자의 입으로 환아의 코와 입을 동시에 막을 수 없으면 성인에서와 같이 입 대 입 환기를 쉴드나 포켓마스크를 사용하여 제공한다.

 소아의 폐는 어른보다 훨씬 작으므로 효과적인 호흡을 위하여 필요한 공기의 양도 어른보다 적다. 소아의 기도는 직경이 가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에 대한 저항도 성인보다 크다.

 따라서 소아에서 인공호흡을 할 때에는 낮은 압력으로 서서히 (1초 정도) 불어넣어야 한다. 빠른 속도로 인공호흡을 하거나 높은 압력으로 인공호흡을 시도하면 위의 팽창을 가져와 구토 또는 위 내용물의 역류를 초래할 수 있다. 소아 및 영아의 인공호흡 속도는 분당 20회, 3초에 1번 정도이고 신생아는 분당 30회, 1~2초에 1번 실시한다.

 

▣ 가슴압박

 소아에서는 심정지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맥박 수가 분당 60회 미만이면서 혈액순환 장애의 증상이 있으면 가슴압박을 시작하여야 한다.

 

  가슴압박에서 위치의 선정 

 영아는 유두 사이에 가상의 선을 그어 복장뼈 교차 지점에서 바로 아랫부분이 압박점이다. 소아에서는 연령에 따라 흉곽의 크기가 다르다. 따라서 유아와 같이 흉곽이 매우 작은 환자는 복장뼈의 중간 부분을 압박하고, 흉곽이 비교적 큰 환자는 복장뼈의 하반부 ⅓ 지점을 압박하는 것이 좋다.

 

  가슴압박의 방법

 영아는 가슴을 두 손으로 감싼 후 양손의 엄지로 환자의 복장뼈를 압박하거나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압박한다. 영아에서는 두 손가락으로 복장뼈 하반부를 1.5~2.5cm 정도 깊이로 압박한다(엄지압박법). 영아의 간과 지라는 성인보다 크며, 횡격막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부적절한 가슴압박은 간과 비장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소아의 흉곽은 성인보다 크기가 작고 약하므로, 성인과 같이 두 손으로 체중을 실어 압박할 필요가 없다. 소아는 한 손바닥으로 압박하고 체구가 크면 두 손을 모두 사용하여 성인과 같은 방법으로 압박한다.

 

  가슴압박의 횟수

 소아와 영아는 성인과 동일하게 분당 100회 정도로 압박하고, 신생아의 경우 분당 90회로 압박한다.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비는 1인 구조 시는 30:2, 2인 구조 시는 15:2 로 유지한다.

 상품화된 가슴압박 장치를 사용하여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가슴압박을 제공할 수 있다. 

 

6. 영아 기도폐쇄 처치

 기도가 폐쇄된 영아는 샌드위치법으로 안아서 무릎을 이용해 눕힌 후, 등 두드리기 5회와 가슴 밀치기 5회를 1초 정도의 속도로 이물이 나올 때까지 시행한다. 이후 이물이 나오지 않고 영아가 의식을 잃게 되면 테이블 위에 눕히고 구강 내 이물을 확인하고 1회 구조호흡을 하고 들어가지 않으면 기도를 재개방 후 다시 한번 불어넣기를 한다. 그리고 다시 등 두드리기 및 가슴압박 5회와 이물확인-구조호흡-기도재개방-불어넣기를 이물이 나올 때까지 반복 시행한다. 

반응형

'배움 >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급간호#7_출혈 및 쇼크  (0) 2022.06.13
응급간호#6_기본소생술  (0) 2022.06.11
응급간호#4_기본소생술  (0) 2022.06.09
응급간호#3_기본소생술  (0) 2022.06.09
응급간호#2_기본소생술  (0) 2022.06.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