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추신경계의 감염성 질환
질환 신경계의 감염성 질환은 세균성(bacterial) 또는 화농성(pyogenic) 감염과 바이러스성 감염 그리고 기타 감염으로 구분한다. 침범 부위는 뇌실질 조직이나 뇌막 및 신경계에 분포하고 있는 혈관 조직이다.
뇌막염(Meningitis)
뇌막염은 뇌와 척수를 싸고 있는 막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원인으로는 많은 미생균에 의해 발생되나, 흔히 수막구균(meningococcus),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폐렴구균(pneumococcus), 결핵균이 있다.
결핵균에 의한 뇌막염은 열이 심하게 나타나지 않으며 진단도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폐렴구균, 수막구균, 연쇄상구균에 의한 뇌막염은 화농성으로 급성으로 진행한다. 화농성 뇌막염은 뇌와 척수의 지주막, 연막, 그리고 지주막 하강에 발생되며, 이를 연수막염(leptomeningitis) 이라고도 부른다.
증상은 의식의 혼미 혹은 반혼수 상태를 나타내며, 경련성 발작, 체온상승, 맥박과 호흡수의 증가가 온다. 뇌막 자극 증상으로 Kernig's Sign, Brudzinki's sign이 나타난다.
진단은 뇌척수액 검사에서 뇌척수액의 혼탁을 볼 수 있고, 백혈구 증가 및 세균 검출진단이 있다. 처치로는 항생제를 투여하고 적절한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한다.
뇌농양(Brain abscess)
원인균은 두개 내 감염 병소로부터 오거나 혈류를 타고 두개 외 병소로부터 온다. 두개 외부 병소로는 중이(middle ear), 유양돌기(mastoid process) 또는 부비동(nasal sinus)으로부터 파급되며 소수의 예는 개방성 두부손상이나 두개수술 후에 올 수도 있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연쇄상 구균과 포도상 구균이며, 병리 상태는 농양 초기에는 염증, 괴사, 부종으로 시작하여 농양 중심 부위에는 고름과 육아조직벽이 형성된다.
증상은 두통, 기면 의식의 혼란과 국소적 신경장애가 있으며 다른 뇌조직 공간점유 질환과 동일하다.
진단은 CT scan 또는 두개 X-ray 촬영 뇌파검사, 뇌동맥 촬영으로 이루어지며 처치는 항생제 요법과 외과적 수술이 진행된다.
바이러스성 감염(Viral infections)
신경계 바이러스 감염은 대부분 전신 감염의 합병증으로 오며, 전신 증상보다 증상이 격렬하게 나타난다. 바이러스의 침입 경로는 다양한데, 대부분은 호흡기계를 통하여 들어오고, 기타 구강이나 생식기계 또는 동물이나 곤충에 물려서 들어온다. 바이러스성 뇌염(viral encephalitis)은 급성 열성 질환으로 뇌막 침범 증세를 보인다. 경련 발작, 의식의 혼돈, 섬망, 혼미, 혼수, 실어증과 신체의 편측마비, 비대칭 반사작용 등이 온다. 질환의 후유증으로 정신의 황폐와 인격 변화, 편측마비 등이 있다.
퇴행성 질환 (Degenerative disease)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주로 뇌와 척수의 백질(white matter) 부분이 침범되어 신경 축삭의 수초탈락이 산발적으로 일어난다. 그러므로 신경계는 서서히 불능 상태가 되며 질병상태는 젊은 성인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고 여자가 남자보다 많이 발생한다.
증상은 수초탈락이 일어난 곳에 따라 특성, 지속기간이 다르며,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은 감각 손상으로, 하지에서 부전마비와 경련성 쇠약, 복부 반사작용 상실이 온다. 뇌간이 침범된 경우에는 복시, 현기증, 안구진탕증, 오심, 구토, 삼차신경과 안면신경 증상이 오고, 소뇌 침범 증상으로는 보행 실조증을 볼 수 있다. 척골신경총과 연결되는 척수 신경로 손상으로는 방광 항문 생식기 부위 장애가 발생된다.
진단은 임상증상에 의해 이루어지며, 뇌척수액검사에서는 WBC 증가와 γ-globulin의 증가를 볼 수 있다.
처치는 증상완화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특수요법은 없다. 약물로는 ACTH를 투여하여 효과를 보며, 단백질과 비타민B를 충분히 공급하고 방광기능 장해 예방을 위해 방광기능 훈련을 시도한다.
'배움 >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급간호#22_신경계 (0) | 2022.07.06 |
---|---|
응급간호#21_신경계 (0) | 2022.06.17 |
응급간호#20_신경계 (0) | 2022.06.17 |
응급간호#19_신경계 (0) | 2022.06.16 |
응급간호#18_신경계 (0) | 2022.06.16 |
댓글